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관리인 J입니다

 

현재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가 완전한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외국인들의 유입도 있었지만 동학개미들의 힘이 컸는데요.

예전 개인투자자들이 주로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를 했다면 요즘은 직접투자가 대세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ETF는 좀 더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요.

 

오늘은 ETF 투자방법과 ETF의 장단점, 종류,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 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증권사 등에서 가입하던 인덱스 펀드를 증권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하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 인덱스 펀드 - 시장의 수익률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구성한 펀드)

즉, ETF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인덱스 펀드로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

 

ETF 종목명 운용사 이름에 추종하는 지수와 섹터의 이름 등을 붙여서 만듭니다.

예를 들어 종목명이 'TIGER200IT'인 경우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200 - KOSPI200기업

IT - IT섹터 종목들의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ETF 의 장점은

  • 주식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고 환금성이 좋습니다.
  • 다른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 소액으로 분산 투자를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시장에서 소외되지 않는 투자가 가능합니다.

 

ETF의 단점은

  • 지수 연계 ETF의 경우 주가의 변동폭이 작아 수익성이 낮은 편입니다.
  • 일반적으로 장기투자를 해야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 ETF가 추종하는 지수와 100% 연동되지 않고 오차가 존재합니다.

 

ETF 종류는

  • 상장지수 ETF - 추종하는 해당지수를 유사하게 따라가도록 구성
  • 섹터 ETF - 해당 산업군에 해당하는 종목들에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로 구성
  • 테마형 ETF - 산업군이 아니라 블루칩, 4차산업 등 테마주로 구성
  • 채권형 ETF - 채권에 분산투자하는 ETF
  • 원자재 ETF - 원유, 금, 은, 농산물 등과 같은 원자재에 투자
  • 파생상품형 ETF - 레버리지 ETF(추종지수 변동폭의 2배 수익), 인버스 ETF(추종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 인버스레버지ETF(추종지수가 하락할 때 2배 수익)를 통칭.           

* 파생상품형 ETF는 정상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므로 신중한 투자접근이 필요합니다.

 

 

​ETF 세금은?

국내 주식형 ETF - 매매차익은 비과세 / 배당금은 배당소득세 15.4% / 배당금만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국내 기타 ETF - 매매차익과 배당금 모두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 / 매매차익, 배당금 모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해외상장 ETF - 매매차익이 250만 초과시 양도소득세 / 배당금은 배당소득세 15.4% / 배당금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란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이 연 2000만 원이 넘으면 근로소득 등과 합산하여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최고 38%의 세율을 적용하는 제도)

 

 

이상 ETF에 대략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ETF는 장기투자를 하는 것이 수익이 높아지니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

 

좋은 하루 보내세요!!!

댓글
공지사항